2025/07 34

7월 20일 - 오늘의 역사

7월 20일 - 오늘믜 역사🧭 한국사1925년 – 조선사편수회 설치조선총독부는 조선의 역사를 자의적으로 왜곡·편찬하기 위해 조선사편수회를 설치했습니다. 이 기관은 일제 식민사관을 정당화하고 한국의 정체성을 훼손하는 데 목적이 있었습니다.1953년 – 금성지구 전투 시작한국전쟁 중 가장 마지막 격전 중 하나로, 휴전 협정 체결(7월 27일) 일주일 전 북한군의 총공세에 맞선 격렬한 방어전이었습니다.1974년 – 경부고속도로 전면 개통서울과 부산을 잇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속도로로, 경제개발과 산업화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건설에는 수많은 노동자들의 희생이 따랐습니다.1990년 – 제1차 남북 고위급 회담 개최서울에서 남북한의 고위급 인사들이 처음으로 본격적인 회담을 시작했습니다. 남북관계 개선의 전환점이 되..

카테고리 없음 2025.07.20

7월 19일 - 오늘의 역사

7월 19일 - 오늘의 역사📌 한국사1948년 – 대한민국 헌법 공포제헌국회에서 제정된 대한민국 헌법이 이날 공포되었습니다. 이 헌법은 대한민국 최초의 헌법으로, 대통령 중심제와 삼권분립, 국회 단원제, 기본권 보장 등을 규정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대한민국은 법적 기반을 갖춘 독립 국가로서의 틀을 확립하였습니다.1985년 – 대한항공 007편 유족 방한1983년 소련에 의해 격추된 대한항공 007편 희생자의 유족들이 한국을 방문하여 위령비 제막식에 참석했습니다. 이는 국가 차원의 추모와 유족 위로를 위한 의미 있는 행보였습니다.2001년 – 제16회 부산국제영화제 조직위원회 출범세계적 영화제로 성장한 부산국제영화제의 기틀을 다진 조직위원회가 이 날 출범했습니다. 이후 이 영화제는 아시아 영화의 중심이 ..

카테고리 없음 2025.07.19

통찰력이 지나쳐서 너무 살피면 의심이 많아진다

*통찰력이 지나쳐서 너무 살피면 의심이 많아진다* 근사록明極則過察而多疑 명극즉과찰이다의 '명(明)은 통찰력(洞察力)이다. 흔히 머리 회전이 빠르다는 말들을 하는데, 그런 뉘앙스가 이 경우의 명과 가깝다. 이것은 세상을 살아나가는 데 필수 요건 중 하나이다. 그러나 이 명도 너무나 지나치면 사소한 것까지 눈에 뜨이게 됨으로써, 이것도 아니고 저것도 아니라며 의심만 하게 된다는 것이 표제의 말이다. 이 또한 인간학(人間學)의 진수라고 해도 좋겠다. 특히 사람 위에 서는 리더로서, 필히 자계(自戒)해야 할 일이 바로 이 점이기도 하다. 명은 리더에게 있어 반드시 갖추어져야 할 필수 조건이다. 이 명이 없으면 조직의 키를 잡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와 함께 필요한 것이 결단력이다. ..

7월 18일 - 오늘의 역사

7월 18일 - 오늘의 역사 한국사와 세계사를 구분해 소개합니다. 🧭 한국사🔹 1392년 – 조선 건국 준비 완료이성계, 개경에서 고려 마지막 왕 공양왕으로부터 왕위를 선양받고조선 건국의 토대를 마련함. 실제 건국은 이 해 7월 28일. 🔹 1948년 – 유엔, 대한민국 정부 승인 결의유엔 소총회에서 대한민국을한반도의 유일한 합법 정부로 승인하는 결의안이 통과됨. 🔹 1979년 – 박정희 대통령, 포항제철 제4기 설비 준공식 참석제철보국(製鐵報國)의 상징인 포항제철이 이로써연간 950만 톤 생산 체제를 갖추게 됨. 🔹 2001년 – 진도 앞바다에서 대형 여객선 화재 발생‘한일그랜드훼리’호에서 화재가 발생해 승객 전원이 긴급 구조되는 사건 발생. 🌍 세계사🔸 64년 – 로마 대화재 발생네로 황..

오늘의 역사 2025.07.18

인생 백년이라 해도 낮과 밤이 반반이다

*인생 백년이라 해도 낮과 밤이 반반이다* 열자人生百年, 晝夜各分 인생백년 주야각분 옛날 주나라에 살던 윤이란 사람은 재산을 늘리는 데에만 골몰해 있었다.그 때문에 윤가네서 일하는 노복은 뼈 빠지게 일을 해야 했다. 그것을 본이웃사람이 쉴 틈 없이 일만 한다며 동정했다. 그러자 노복은 이렇게 대답했다고 한다. "인생 백년, 낮과 밤이 각각 반이오. 나는 낮에는 종의 신분으로 고생을하오. 그러나 밤에는 임금이 되며, 그 즐거움이란 무엇에도 비할 데가 없소. 무슨 원망이 있으리오." 밤이 되면 꿈속에서 왕후가 되어 영화의 극치를 누리니, 불만 따위는조금도 없다는 것이다. 인생이 백년이라고 하면 낮이 50년이오, 밤이 50년이다.그리고 사람의행복이란 낮의 생활에서만 얻어지는 것은 아니다.또한 낮..

7월 17일 - 오늘의 역사

7월 17일 - 오늘의 역사역사 속 오늘, 어떤 일들이 있었을까요?한국사1392년 – 조선 건국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고 국호를 ‘조선(朝鮮)’으로 정함. 고려 멸망 이후 새로운 왕조의 시작.1948년 – 대한민국 헌법 제정제헌국회가 제1차 본회의를 열어 헌법을 통과시킴. 이후 7월 17일은 ‘제헌절’로 지정됨.→ 현행 헌법은 1987년 개정된 제9차 헌법.1962년 – 군사정권에 반대한 장면 전 총리 사임5·16 군사정변 이후 정치적 격변의 일환.1988년 – 서울 올림픽 공식 마스코트 ‘호돌이’ 공개국민공모를 통해 정해진 캐릭터로, 이후 국민적 사랑을 받음.🌍 세계사1453년 – 프랑스, 카스티용 전투에서 승리잉글랜드를 꺾고 백년전쟁의 종결을 가져온 역사적 전투.1717년 – 잉글랜드, 워터뮤직 초연..

오늘의 역사 2025.07.17

다른 사람의 잘못에는 관대하고 자신에게는 엄격해야 한다

*다른 사람의 잘못에는 관대하고 자신에게는 엄격해야 한다* 다른 사람을 꾸짖을 때에는 잘못한 가운데서도 그나마 잘못이 적은부분을 찾으면 곧 마음이 평온해진다. 자신을 책망할 때에는 잘못이없는 데서도 그나마 잘못한 부분을 찾으면 곧 덕으로 나아가게 된다. 전편 219貴人者,原無過於有過之中, 則情平. 귀인자, 원무과어유과지중, 즉정평. 貴己者,求有過於無過之內, 則德進. 귀기자, 구유고어무과지내, 즉덕진. 사람은 자신의 잘못에는 관대하지만 다른 사람의 과실에는 상당히 인색합니다.다른 사람이 어떠한 잘못을 했을 경우에는 눈에 불을 켜고 달려들지만, 자신이이 했을 경우에는 사람은 누구나 실수를 하고 살아간다며 합리화합니다. 이는 유교 사상에서 이야기하는 '인(仁)'의 개념과 정반대가 되는 행동양식입니다. ..

7월 16일 오늘의 역사

7월 16일 - 오늘의 역사한국사📜 1866년 – 병인박해 시작조선 고종 3년, 대원군이 집권하던 시기. 프랑스 선교사들과 천주교 신자들에 대한 대대적인 탄압이 시작되었습니다. 이는 ‘병인박해’로 불리며, 프랑스가 보복으로 병인양요(1866년 10월)를 일으키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습니다.🏛 1948년 – 대한민국 제헌국회, 헌법 제정해방 후 최초로 구성된 제헌국회에서 대한민국 헌법이 통과되었습니다. 이 헌법은 대통령 중심제와 삼권분립을 바탕으로 대한민국의 법적 기틀을 마련하였고, 같은 해 8월 15일 정부 수립으로 이어졌습니다.📺 1993년 – 한국 최초의 민영 TV 방송국 SBS 개국서울방송(SBS)이 개국하며 국내 최초의 민영 지상파 TV 방송 시대가 열렸습니다. 이는 기존의 공영방송 체제에 ..

오늘의 역사 2025.07.16

상대방을 알려면 눈을 보는 것보다 좋은 방법은 없다

*상대방을 알려면 눈을 보는 것보다 좋은 방법은 없다* 맹자存乎人者, 莫良於眸子. 존호인자, 막량어모자. 상대방을 판단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상대방의 눈을 관찰하는 것이다.맹자는 그 이유를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눈동자는 그 악(惡)을 감추지 못한다. 마음이 바르면 그 눈동자는 맑다.마음이 바르지 못하면 그 눈동자는 흐려진다. 그 말을 듣고 그 눈동자를 보면 어찌 그 사람 됨됨이를 파악할 수 없겠는가." 흔히들 '눈은 마음의 창'이라고 한다. 마음이 더러워져 있으면 눈도 탁하고, 마음이 비뚤어져 있으면 자연히 그 눈에 나타난다고 한 맹자의 이 말은십분 인정되지만, 그 눈만으로 사람을 판단한다는 것은 어쩐지 좀 졸속하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므로 맹자 역시 '그 말을 듣고... '라는 ..

7월 15일 - 오늘의 역사

오늘의 역사 – 7월 15일 (티스토리용)🏯 한국사1907년 – 순종, 대한제국 제3대 황제로 즉위→ 고종이 강제로 퇴위당한 뒤, 일본의 간섭 아래 순종이 즉위함. 이후 한일병합(1910)까지 명목상의 황제로 존재.1949년 –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강제 해산→ 일제강점기 친일 행위를 조사하던 '반민특위'가 경찰의 습격과 정부 방조 속에 해체됨. 친일 청산 실패의 대표적 사례로 남음.1988년 – 서울올림픽 성화, 독도 도착→ 올림픽 성화가 처음으로 대한민국 동쪽 끝 독도에 도달. 상징적인 의미가 컸던 날.🌐 세계사1099년 – 제1차 십자군, 예루살렘 점령→ 기독교 세력이 이슬람 세력으로부터 예루살렘을 탈환한 사건. 이후 수백 년간 십자군 전쟁의 서막이 됨.1799년 – 로제타석 발견→ 이집트에서..

오늘의 역사 2025.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