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에 깊이를 더하는 고전 읽기(이강래 편역)

인생이란 의기로 사는 것 공명 따위에 구애되랴

혜월(慧月) 2025. 2. 27. 08:00

 

* 인생이란 의기(意氣)로 사는 것 공명(功名) 따위에 구애되랴 *

 

당시선

人生感意氣, 功名誰復論.  인생감의기, 공명수부론.

 

   당시선(唐詩選)의 권두를 장식하는 '술회(述懷)'란 제목의 시 가운데 한 

구절이다. 작자는 위징(당태종을 섬기던 명신)이다.

  태종이 아직 즉위하기 전, 그 형인 건성과 골육상쟁을 벌였다. 이때 위징은

건성의 모신으로 활약했었다. 이 싸움에서 건성은 죽음을 당했고 태종이 즉

위하게 되는데, 이때 위징은 재능을 인정받아 태종의 휘하에 들어갔을 뿐 아

니라 태종의 명을 받아 동방 선무에 나선다. 이 시는 이때 읊었던 시라고 한

다.

   인생이란 사나이끼리의 의기 투합으로 사는 것, 공명 따위에는 구애되지 

않는다는 의미의 말이다. 사나이의 소망을 노래한 구절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은 각자 그 이익에 따라 움직인다고는 하지만, 타산만 앞세운다면 인

생길이 너무나 삭막할 것이다.

   위징과 마찬가지로 인생이란 의기로 느낀다는 측면도 있어야 하지 않겠

는가.

 

* 금의옥식 (錦衣玉食 ) - 宋史

  좋은 옷과 좋은 음식, 즉 사치스러운 생활을 뜻함.

 

                     인생에 깊이를 느끼는 고전 읽기 - 이강래 편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