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전
미란다왕문경 - 인격적 객체는 존재하지 않는다
불교의 교리를 두 사람의 논담을 통해서 이해할 수 있는 경전이
있습니다. <밀란다팡하>라고 하는 이 경은 한역에서는 미란다왕문경
혹은 나선비구경으로 번역되어 있습니다. 경이라는 말이 붙어있으나
엄격히 말하면 대론서(對論書)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스 알렉산더 대왕의 인도 원정 이후 서북 인도는 한때 그리스
왕들에 의해 통치됐는데, 기원전 2세기 후반에 그 지방을 통치한
왕이 메난드로스입니다. 이 왕의 이름 메난드로스를 팔리어로
밀린다라고 합니다.
왕은 곧잘 수행승들에게 질문을 퍼부어 상대방을 난처하게 만들기로
유명했는데, 대론을 하여 자기의 의문을 해소시켜 줄 수 있는 수행자가
인도에는 아무도 없다고 개탄을 합니다. 그러자 대신인 데바만티아가
왕에게 나가세나라는 장로가 지혜가 뛰어나고 변재가 좋다고 추천해
왕은 나가세나를 찾아가 두 사람의 대담이 시작됩니다.
나가세나를 만난 왕은 먼저 그의 이름을 묻습니다.
이에 대한 대답이 묘합니다.
"대왕이시여, 나는 나가세나로 알려져 있습니다만 이 나가세나라는 이름은
이름에 지나지 않고 거기에 인격적 개체는 없는 것입니다."
이 말에 왕은 무척 놀란 표정을 짓습니다. 마주보고 이야기를 하는 당사자가
자기는 인격체가 아니라고 하니, 그럼 말을 하는 사람은 누구이며
듣는 사람은 누구란 말인가. 의혹이 일어났습니다.
"나가세나로 불리는 존재는 그럼 도대체 누구인가요?
머리카락이 나가세나인가요?"
"대왕이여, 그렇지 않습니다."
"몸에 있는 털들이 나가세나인가요?"
"그렇지 않습니다."
왕은 치아, 피부 등의 신체를 구성하는 온갖 부위 하나하나를 들어가며 따져
물지만 나가세나는 무두 부정을 합니다. 왕은 끝내 나가세나라는 존재의
단적인 것을 찾아내지 못하자 마침내 나가세나가 거짓말을 했다고
힐책을 합니다.
이에 나가세나는 반론을 개시합니다.
"대왕이 여기 오실 때 무엇을 타고 오셨습니까?"
"수레를 타고 왔습니다."
"대왕이여, 수레를 타고 오셨다면 무엇이 수레인가를 내게 말해 주시겠습니까?"
"수레의 채가 수레인가요?"
"스님, 그렇지 않습니다."
"수레의 축이 수레인가요?"
"그렇지 않습니다."
이런 식으로 멍에인가, 바퀴인가, 채찍인가 하고 따져 묻지만 왕은
계속 부정을 합니다. 나가세나는 왕의 논법을 뒤집어 그대로 왕에게 반문을
한 것입니다. 왕은 채와 기타 부속물에 의해 수레라는 명칭이 생겨난 것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게 합니다.
그래서 나가세나는 신체의 구성 부분에 의해서
나가세나라는 이름이 생기며, 인격적 개체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대답을
유도해 냅니다. 왕은 나가세나에게 속으로 감탄을 하게 된 것입니다.
이 대목은 불교의 무아설(無我說)을 해석한 것으로 보아
무아설 설명에 자주 인용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아비달마 교학에 의한 무아설과는 취지가 다르다고 보는 견해도 있습니다.
*경전으로 시작하는 불교 글 지안스님*
'불교 용어및 예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전 - 반주삼매경 (0) | 2020.01.25 |
---|---|
경전 사십이장경 (0) | 2020.01.24 |
경전- 백유경 (0) | 2020.01.23 |
경전 - 법구비유경 (0) | 2020.01.22 |
2부 - 경전 -법구경 (0) | 2020.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