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용어및 예절. 187

우란분재란 무엇인가

우란분재란 무엇인가 음력 7월 15일은 불가에서는 대단히 뜻 깊은 날이다. 3개월 동안 일절 외부 출입 없이 선방에 가부좌를 틀고 앉아서 참선 정진하던 납자들이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 만행길에 오르는 하안거(夏安居) 해제날이자, 돌아가신 부모며 조상님의 극락왕생을 발원하는 우란분절(盂蘭盆節)이기 때문이다. 이 우란분절에 스님들이나 부처님께 공양을 올리며 조상들의 왕생을 기원하는 법회를 우란분재라 한다. 중국에서 찬술된 [우란분경] 盂蘭盆經 에는 부처님의 십대제자 중 신통력이 가장 뛰어난 목건련(目建連) 존자의 극진한 모친 사랑 이야기가 실려 있다. 목건련이 굶주림에 시달리는 아귀도(餓鬼道)의 고통에서 어머니를 구원하기 위해 부처님께 청하고 그 가르침에 따라 어머니를 구했다는 이야기이다. 목건련의 어머니는 ..

불교 용어 해설(7) -육바라밀

불교 용어 해설 -7 육바라밀 六波羅蜜 대승불교의 보살이 깨달음의 세계에 도달하기 위해 실천 수행해야 하는 6가지 행. 즉 보시바라밀, 지계바라밀, 인욕바라밀, 정진바라밀, 선정바라밀, 지혜바라밀 인과 因果 원인과 결과. 결과를 생기게 하는 것이 因이고, 인에 의해서 생긴 것이 果. 모든 존재와 현상은 원인과 결과의 법칙에 의해서 생겨나고 소멸함 인연 因緣 결과를 내는 직접적인 원인은 因이고, 주변에서 이를 돕는 간접적인 원인은 연(緣). 흔히 원인과 조건이라고 함. 모든 것은 인과 연에 의해서 성립하고 소멸함 인욕 忍辱 6바라밀의 하나로서 어떠한 모욕과 박해도 견디고 참아 화를 내지 않는 것 자비 慈悲 우정(友情)을 의미하는 maitri와 연민을 나타내는 karuna가 합쳐 된 말로서, 붓다와 보살이 ..

불교 용어 해설 (6)-열반

불교 용어 해설 6 열반 涅槃 '불어서 끄는 것' 또는 '불어서 끈 상태'를 의미하는 말로서, 멸(滅), 적(寂)이라 번역. 탐.진.치 등 3독의 번뇌의 불을 꺼서, 번뇌가 소멸된 것. 불교의 이상으로서 궁극적 해탈의 경지를 말함 예토 穢土 정토(淨土)에 반대되는 말로서, 온갖 번뇌로 가득찬 세상. 즉 중생들이 사는 세상 오계 五戒 출가 수행자는 물론 재가 불도도 지켜야 하는 5가지 기본 계율. 불살생(不殺生), 불투도(不偸盜), 불음행(不淫行, 재가신도는 佛邪淫), 불망어(不妄語), 불음주(不飮酒) 오온 五蘊 온은 모임이라는 뜻으로色, 受, 想, 行, 識의 5가지 요소가 합쳐 있는 것. 색은 물질을, 수, 상, 행, 식은 정신을 말함. 좁은 의미로는 인간 존재를, 넓은 의미로는 모든 존재를 가리킴 외도..

불교 용어 해설( 5)-아라한

불교 용어 해설 5 아라한 阿羅漢 공양을 받을 만한 자. 즉, 응공(應供)이라 번역. 여래 십호 가운데 하나. 좁은 의미로서는 소승불교에서 최고의 깨달음을 얻은 자. 성문사고(聲聞四果) 가운데에서 최후의 자리 아비달마 阿毘達魔) 법에 대한 연구라는 의미로서, 붓다의 가르침을 정리. 주석. 연구. 요약한 성전. 논서(論書). 삼장 가운데 논장(論藏) 안거 安居 비(雨)라는 의미의 varsa에서 유래된 말로서, 인도의 기후상 비구들이 비가 많이 내리는 우기 석 달 간은 돌아다니기(遊行) 불편하고, 또 벌레를 밟아 죽일 염려도 있기 때문에 일정한 장소에 머물면서 수행하는 것 업 業 행위. 의지에 의한 육체적, 정신적 활동. 일반적으로 신업(身業). 구업(口業). 의업(意業)으로 구분함. 이것을 다시 신업에 살..

불교 용어 해설 (4)-삼학

불료 용어 해설 4 삼학 三學 불도를 수행하는 사람이 닦아야 하는 계학(戒學), 정학(定學), 혜학(慧學). 3학은 불교의ㅣ 기본적인 실천 도로서 계 > 정 > 혜처럼 점진적인 순서로 배열되어 있음 서원 誓願 보살이 수행의 목표를 밝히고, 그것을 이루기 위해 맹세하는 것. 대표적인 것으로 사홍서원을 들 수 있음 성문 聲聞 '붓다의 가르침 소리를 듣고 깨달음을 성취한 사람' 이라는 의미로 성문이라고 함. 뒷날에는 출가 수행승들을 가리키는 말로 되어, 대승불교인들은 이들을 자기 자신의 깨달음만을 추구하는 데 전념하는 사람들이라고 해서 소승이라고 불렀음 소승 小乘 '작은 탈 것'이라는 뜻. 대승에 비해 교리와 그것을 실천하는 사람이 자신들에 비해서 열등하다고 해서 대승불교인들이 멸시하여 붙여준 이름. 현재 남..

불교 용어 해설 (3)-사바세계

불교 용어 해설 3 사바세계 娑婆世界 sahaloka의 음역으로 대지(大地)라는 의미. 중생들이 머무르는 세계. 즉 현세. 이 세상을 가리킴 사부대중 四部大衆 불교 교단을 구성하는 4그룹의 사람들. 남자 수행 출가자인 비구(比丘), 여자 출가 수행자인 비구니(比丘尼) 재가 남자 신도인 우바새(憂婆塞), 재가 여자 신도 우바이(憂婆夷) 사성제四聖 제는 진리라는 뜻. 4성제는 4가지 거룩한 진리로서 중생의 삶은 고통이라는 진리(고성제), 고통의 원인에 관한 진리(집성제), 고통의 소멸에 관한 진리(멸성제), 고통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관한 진리(도성제)를 밝힌 것 사천왕 四天王 수미산 위의 희견성에 살고 있는 제석천(帝釋天)의 권속으로서 동서남북의 4천하와 불법을 수호하는 4명의 왕. 동방은 지국천(持國天)..

불교 용어 해설 (2)-법

불교 용어 해설 - 2 법 法 진리, 진실, 행위 규범, 가르침, 존재하는 모든 사물 등 매우 다양한 의미를 지님 법륜 法輪 붓다의 가르침을 전륜성왕이 가지고 있는 보륜(寶輪)에 비유한 말. 붓다가 설법하는 것을 법륜을 굴린다고 함 법문 法門 진리의 가르침. 붓다의 가르침. 진리 또는 깨달음에 이르는 문. 붓다가 설한 모든 가르침을 8만 4천 법문이라도고 함 법신 法身 붓다를 붓다 되게 하는 근거. 진리의 인격화로서 영원한 이법(理法)으로서의 붓다 보리 菩薩 지(智).도(道). 각(覺)이라고도 번역. 완전한 지혜. 佛, 성문(聲聞), 연각(緣)이성취한 깨달음의 지혜. 특히 붓다가 성취한 보리는 가장 높은 것이기 때문에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고 부르고, 번역해서 무상정등정각 또는 무상보리(無上菩提)라고 함 보..

불교 용어 해설(1)-겁

불교 용어 해설-1 겁 劫 kalpa 극히 긴 시간. 찰나의 반대. 1小劫은 1천 6백 8십만 년에, 1大劫은 13억 4천 4백만 년에 해당 됨 결집 結集 붓다가 열반에 든 후, 제자들이 붓다가 남긴 가르침을 함께 외워 전승하기에 편리하도록 정리, 집대성한 것. 불교 역사상 여러번의 결집이 있었음. 경전 편집 회의 공 空 모든 존재는 인연에 의해서 생겨난 것이기 때문에 그것에 실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없다는 뜻 공덕 功德 좋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잠재적인 능력이 선한 행위에 덕으로 갖추어져 있는 것 공안 公案 禪宗에서 깨달음을 열어주기 위해서 주어지는 문제. 예로부터 조사들이 보여준 말이나 동작 중의 핵심을 모아서 선 수행자를 공부시키기 위한 것. 화두(話頭)라고도 함 공양 供養 음식물이나 의복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