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륜스님의 엄마 수업 41

제2장 부모 성품이 아이를 물들인다

엄마 수업 제2장 부모 성품이 아이를 물들인다 *내 울타리에 가두지 마라 자식이 얼굴 예쁘고, 키 크고, 스펙을 갖추면 좋아하는 부모들이 있습니다. 이런 아이들은 부모만 좋아할까요? 아닙니다. 누구라도 이런 아이는 좋아합니다. 그런데 오늘날 많은 엄마들이 자식을 남 보기에 좋은 물건처럼 취급 합니다. 얼굴 예쁘고 신체 건강하고 공부 잘하고 말 잘 듣는 아이는 엄 마가 아니라도 좋아합니다. 겉으로 보이는 조건을 갖춰 주려고 애쓰는 대신 우리 아이에게 어떻 게 마음의 안정을 줄까, 어떻게 사람답게 자라도록 도울까, 이런 것들 에 신경을 쓸 때 진정한 부모라 할 수 있습니다. "중학생 아들이 게임에 빠져 공부도 안 하고 학교에도 안 가려 해서 걱정이에요." 그러면서 "어떻게 기도해야 아이가 학교도 잘 가고, ..

나이별로 지혜롭게 대응하기

엄마 수업 제1장 자식사랑에도 때가 있다 *나이별로 지혜롭게 대응하기 자식이 커감에 따라 세대별 특성이 달라집니다. 부모도 거 기에 맞게 대하면 순리에 어긋나지 않아서 자식에게도 좋고 부모에게 도 좋습니다. 또 나이가 들면 늙은 사람의 특징이 있어요. 늙은이는 변 하지 않는다는 거예요. 몸도 이미 굳어서 유연하지 않고 거동도 불편 하지만, 특히 마음이나 정신이 이미 굳어서 더 이상 바뀌지를 않아요. 친정 부모든 시부모든 노인을 모시고 살다 보면 갈등이 생기는데, 이때도 노인의 특성을 알면 크게 충돌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노인들은 젊은 사람을 만나면 나름대로 자기 견해를 말합니다. 이래 라 저래라 하죠. 그런데 자식 입장에서는 똑같은 얘기를 계속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부모가 하는 얘기를 잔소리로 받아..

성년기 자녀에게 주는 최고의 선물 <냉정한 사랑>

엄마 수업 제1장 자식사랑에도 때가 있다 *성년기 자녀에게 주는 최고의 선물, 냉정한 사랑 사랑은 단계별로 크게 세 가지로 나눠 볼 수 있습니다. 첫째, 정성을 기울여서 보살펴 주었을 때의 사랑이 있습니다. 아이가 어릴 때는 정성을 들여서 헌신적으로 보살펴 주는 게 사랑이에요. 둘째, 사춘기의 아이들은 간섭하고 싶은 마음, 즉 도와주고 싶은 마음 을 억제하면서 지켜봐 주는 게 사랑입니다. 셋째, 성년이 되면 부모가 자기 마음을 억제해서 자식이 제 갈 길을 가도록 일절 관여하지 않는 것을 중심으로 삼는 냉정한 사랑이 필요 합니다. 그런데 우리나라 엄마들은 헌신적인 사랑은 있는데 지켜봐 주는 사 랑과 냉정한 사랑이 없어요. 이런 까닭에 자녀 교육에 대부분 실패합 니다. 자식이 스무 살, 서른 살, 마흔 살인..

사춘기, 지켜봐 주는 사랑

엄마 수업 제1장 자식사랑에도 때가 있다 *사춘기, 지켜봐 주는 사랑 옛날에 가난한 부모들은 아이가 어릴 때 제대로 보살펴주지 못해서 건강하지 못하거나 배울 기회를 주지 못한 것이 흠이었습니 다. 그런데 요즘 부모들은 아주 잘 먹여서 아이들의 영양 상태가 좋고, 공부도 많이 시켜서 아이들이 아주 똑똑해요. 그러나 문제는 아이가 사춘기가 되고 대학에 들어가서도 어린애 짓 을 한다는 거예요. 이것은 부모가 아이의 자립 기회를 막고 아이 대신 다 해준 데서 비롯된 겁니다. 부모는 사랑을 준다고 한 것인데, 그게 오히려 아이를 망친 거예요. 아이를 나쁘게 키우려고 그런 게 아니라 아이의 성질을 몰라서, 어떻게 사랑해야 하는지를 모른 데서 비롯된 거예요. 사춘기 아이들은 특징이 있습니다. 어릴 때와 달리 감정과 ..

세 살에서 초등학교 시기, 부모 행동을 따라 배운다

엄마 수업 제1장 자식사랑에도 때가 있다. *세 살에서 초등학교 시기, 부모 행동을 따라 배운다 아이가 세 살 때까지는 애를 우선으로 해야 합니다. 그 이후 에는 배우자를 먼저 생각하는 것이 아이에게도 좋습니다. 어떤 일이 있어도 남편은 아내를, 아내는 남편을 우선으로 하고, 아이는 이차적 으로 생각하는 것이 좋아요. 그래서 남편이 다른 지역으로 전근을 가면 무조건 따라가야 합니다. 아이의 학교 문제를 생각해서 남편과 아내가 따로 살기도 하는데 결 과적으로 아이에게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남편은 아내를, 아내는 남 편을 중심에 놓고 세상을 살면 아이는 전학을 열 번 가도 아무런 문제 없이 잘 큽니다. 그런데 가정에서 애를 중심에 놓고 오냐오냐 하면서 부부가 헤어지 고 갈라지면 애한테 아무리 잘해 줘도 결..

3년 육아 휴직 제도가 필요해

엄마 수업 제1장 자식사랑에도 때가 있다 *3년 육아 휴직 제도가 필요해 아이에게는 태어나서 3년까지가 가장 중요한 시기입닏다. 그래서 엄마들에게 "직장생활이 뭐가 중요하냐, 아이를 팽개쳐 놓고 자기 하고 싶은 대로만 하느냐" 는 식으로 야단을 치기도 하지만, 사실 엄마들의 마음을 모르는 게 아니에요. 엄마 아빠가 함께 부모가 된 후 아빠는 직장생활을 하면서도 아빠 역할도 하고 승진도 하는데 엄마라고 해서 왜 그런 마음이 없겠어요. 그래서 엄마들은 "왜 나만 피해를 봐야 하는가?" 하고 문제 제기를 합 니다. 하지만 이렇게 자기 권리를 따지다 보면 피해는 고스란히 아이에게 가니 어쩌겠어요. 그뿐만 아니라 아이가 큰 후에는 아이를 버려 둔 인 연의 과보가 고스란히 엄마에게 고통으로 찾아옵니다. 이런 이유로..

육아와 직장생활 사이

엄마 수업 제1장 자식사랑에도 때가 있다 *육아와 직장생활 사이 직장에 다니다 아이를 낳으면 애 볼 사람을 구해서 맡겨 놓고 다시 직장에 나가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일단 직장을 그만두면 다시 취업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문제도 있고 해서 다시 일을 나갑닏니다. 직장생활을 하는 엄마를 둔 아이의 경우 어릴 때는 별 문제 없는 듯 보여요. 하지만 대체로 사춘기가 되면 그때부터 문제가 생깁니다.그 러다 보면 엄마가 자식 문제 때문에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애한테 매달리는데, 그때는 이미 늦습니다. 아이가 정말 엄마를 필요로 할 때는 일하느라 바쁘다고 팽개치고, 부모 손을 필요로 하지 않을 때는 찰싹 붙어서 아이를 관리하려고 드 니, 오히려 부모와 자식 사이에 갈등이 생기고 문제가 발생합니다. '호미로..

출산에서 세 살, 헌신적인 사랑이 필요한 시기

엄마 수업 제1장 자식사랑에도 때가 있다 *출산에서 세 살, 헌신적인 사랑이 필요한 시기 엄마는 아이가 어릴 때일수록 모든 걸 다 해줍니다. 밥상머 리에서 똥을 싸도 애부터 걱정하고, 새벽 2시에 애가 오줌을 싸도 자 다 일어나 기저귀를 갈아요. '새벽 2신데 오줌 누냐? ' , '이게 어디 밥상머리에서 똥 누냐? ' 이런 생각이 없습니다. 무조건 아이를 우선으로 생각하고 행동합니 다. 이것이 엄마 마음이에요. 엄마가 아이를 무조건 위하는 이 사랑의 마음이 아이에게 고스란히 전해져서 아이의 마음이 되는데 이것을 '양심'이라 하지요. 그래서 인 간의 심성 가운데 양심이 가장 먼저 생기는 겁니다. 엄마의 사랑을 그 대로 받아 신뢰와 이타심이 형성되는 거예요. 이때 우리가 흔히 말하는 휴머니즘이 생깁니다. 엄..

태교, 아이 인생의 첫 단추

엄마 수업 제1장 자식사랑에도 때가 있다 *태교, 아이 인생의 첫 단추 엄마가 아이를 가지면 태교에 신경을 씁니다. 좋은 음악을 듣고, 좋은 책을 읽고, 좋은 음식을 가려서 먹습니다. 그런데 이런 것들보다 훨씬 더 중요한 게 있어요. 바로 엄마의 마음 이에요. 아이가 뱃속에 있을 때 첫 수정란은 하나의 세포입니다. 그것 이 2개가 되고, 4개가 되고, 8개가 되고,16개가 되고, 32개가 되고, 엄청나게 분열해서 한두 달쯤 지나면 신체 부위가 하나둘씩 형성되면 서 기본 형체가 만들어집니다. 시간이 흐르수록 일정한 모양을 형성해 나가지요. 그런데 이때는 아 이의 몸이 독립돼 있는 게 아니라 엄마 신체 중 일부예요. 손이나 눈, 심장이나 위가 우리 몸의 일부이듯이 아이도 엄마 신체의 일부인 거 예요. 만약 ..

1장 자식사랑에도 때가 있다.

엄마 수업 제1장 자식사랑에도 때가 있다. *자식이 부모에게 오는 인연 결혼해서 부부만 살 때에는 다투고 갈등이 있어도 괜찮습니다. 하지만 자식을 낳겠다고 결정했다면 상황은 달라집니다. 이때 부터 부부는 서로 더 이해하고 배려해야 합니다. 특히 아이를 잉태할 때와 아이가 뱃속에 있을 때 그리고 세 살까지는 특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세 살 이후부터는 교육의 힘이 나타나는 시기라고 할 수 있어요. 아 이가 세 살이 지나면 부모가 어떻게 가르치는가도 중요하지만, 아이 가 어떻게 받아들이는가도 중요합니다. 그런데 세 살 이전까지는 밖에서 주어지는 대로 심성이 형성되기 때 문에 아이에게는 아무 책임이 없어요. 전적으로 부모 책임입니다. 따 라서 이때는 엄마 마음이 무조건 편안하고 부부가 화합해야 아이에게 좋은 영..